- | 크기와 쓰임이 유연한 공간 |
- | 학습자 중심수업 및 창의·융합수업 활성화 |
- | 휴식·소통을 통한 인성 함양 |
- |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학습환경 |
- | 온·오프라인 연계 수업, 학생활동 중심 수업 확대 |
- | 국내외 학교와 실시간 교류 |
- | 탄소중립 및 유해물질 없는 친환경 공간 |
- | 체험 중심의 환경생태교육 확대 |
- | 지역과 학교 시설 |
- | 지역사회 공동체 연대 강화 |
- | 공간을 통합·분리해 크기와 용도를 조절할 수 있는 '유연한 공간' |
- | 과학발명교실, 메이커실 등의 '창의·융합공간' |
- | 온라인 수업에 맞는 스튜디오, 토의·토론 등을 위한 개별 공간 등 '소규모 공간' 마련 |
- | 다락방과 라운지 형태의 공간, 옥상 정원, 중정, 외부 테라스, 실외 놀이·휴식 공간 등의 참여·소통 공간으로 학생의 휴식과 구성원 소통을 늘림 |
- | 전시와 학습 공간으로도 활용 가능한 공간 |
- | 통합·분반·온라인 수업 등 상황에 맞는 '선택형 수업' 확대 |
- | 강의 중심 수업을 넘어 탐구형 및 프로젝트 등 '주제 중심 수업' |
- | 자발적 소통 및 교류를 통한 '인성·공공체 교육' 도 공간 혁신과 함께 함 |
- | 고효율 설비 자재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과 태양광 발전 기술 등을 활용 |
- | '탄소중립' 학교 실현 |
- | 건물 외부 영향을 최소화해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냉난방 등에 원격 통합제어 체계를 구축해 관리 자동화 |
- | 생태교육공간 : 학교 텃밭, 실내 정원, 연못 등 다양한 생태환경 조성 |
- | 휴식공간 : 생태환경과 결합된 휴식공간, 주민 커뮤니케이션 거점 공간 |
- | 건강한 공간 : 유해물질 없는 공간, 공기 정화 식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|
- | 학습교재화 : 에너지 절감 및 생산 시설, 생태환경 등을 교육 교재로 활용 |
- | 교육프로그램 : 환경교실 운영, 민간 지역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 활용 |
- | 체험활동 : 기후 변화 대응 및 환경문제 등 주제로 학생 자율 동아리 운영 |
- | 전체 교실을 무선인터넷 환경으로 교체 |
- |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탑재된 태블릿이나 노트북의 활용을 지원 |
- | 학교 여건, 교과특성, 학생 수준에 맞는 학습 기자재 구비 |
- | 교무학사 : 지능형 교육행정정보시스템으로 수강신청, 교육과정 운영지원 등 |
- | 기가관리 : 학교 테크센터 운영, 민간업체 위탁 등을 통한 기기 관리 |
- | 학생 안전 : 지능형 CCTV, 센서, 비콘 등 첨단 기술 활용으로 위험 관리 |
- | 블렌디드 수업 확대 : 단일학급, 오프라인의 한계를 넘은 창의 융합형 수업 |
- | 교수학습 확장 : 시공간의 경계 없는 교수학습 활용자원의 무한 확장 |
- | 맞춤형 개별학습 : 빅테이너, AI등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단 및 특성 분석 |
- | 학생활동 중심 수업 : 신속한 소통 및 정보탐색으로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제고 |
- | 시설 공유 : 도서관, 체육시설, 메이커 공간, 컴퓨터실 등 공유 |
- | 지자체 재원 지원 :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지자체 재원으로 설치 운영 |
- | 복합시설 블록화 : 학습환경 침해 방지, 안전사고 예방 및 이용자 편의를 위해 학생과 이용자 동선 분리 |
- | 운영 다양화 : 학교 일과 중에는 학생이 이용하고, 이외에는 주민이 이용하는 등 시설의 효율성을 높일 운영계획 적용 |
- | 마을 공동체 지원 : 지연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학교 내에 도입하고 학생의 활동을 외부와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접점 제공 |